말씀의 둘레길

성서의 의미

마리아 아나빔 2010. 9. 5. 20:27

 

 

                                                                                                             성서의  의미

 

 

성서의  의미는 오랜 전통에 따라 자구적 의미영성적 의미 두가지로 구분 할 수 있으며,

이 중에서 후자는 우의적 이미, 도덕적 의미, 신비적 의미로 다시 세분된다.

교회 안에서 이루어 지는 성서 읽기는 이 네 가지 의미들의 심오한 조화로써 더욱 생생해지고 풍요로워진다.

 

 

자구적 의미

자구적 의미는 성서의 말씀으로 나타내고, 올바른 해석 원칙에 따른 주석으로 밝혀낸다.

"성서의 모든 의미는 자구적 의미에 근거한다.(토마스 데 아퀴노, <신학대전>, 1, q.

 

 

영성적 의미

하느님 계획의 단일성 때문에 성서 본문뿐 아니라, 그 본문이 말하는 실재와 사건들도 표징이 될 수 있다.

 

1. 우의적 의미

사건들의 의미를 그리스도 안에서 깨달음으로써 더욱 깊은 이해를 얻을 수 있다.

가령 홍해를 건넌 일은 그리스도의 승리의 표징이며, 그로 인해 세례의 표징이 된다.(1고린 10,2 참조)

 

2. 도덕적 의미

성서가 전하는 사건들은 우리를 올바르게 행동하도록 이끈다.

이 사건들은 "우리에게 교훈이 되도록"(1고린 10,11참조) 기록된 것이다.

(히브 3,1-4,11 참조)

 

3. 신비적 의미(anagogia)

우리를 본향으로 인도하는(그리스어 anagogia는 '위로'라는 뜻의 ana와, '인도하다'라는 뜻의 agogie의  합성서이다.)

영원의 의미에서 실재와 사건들을 바라 볼 수 있다.

예컨데 지상 교회는 천상 예루살렘의 표징이다.(묵시 21,1-22,5참조)

 

 

중세의 한 이행시는 이러한 네 가지 의미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글자는 행한 것을 가르치고, 우의는 믿을 것을 가르치며,

도덕은 행할 것을 가르치고, 신비는 향할 것을 가르친다.

 

 

"성서 해석자들의 임무는 이러한 규범에 따라

성서의 뜻을 더 깊이 이해하고 해석하도록 노력하는데 있다.

그리하여 어떤 의미에서 준비의 역할을 하는 연구로써 교회의 판단은 성숙하게 된다.

성서 해석에 관한 이 모든 것은

결극 하느님의 말씀을 보존하고 해석하라는 하느님의 명령과 그 직무를 수행하는 교회의 판단에 속한다.

(계시헌장 12항)

 

만일 가톨릭 교회의 권위가 나를 이끌어 주지 않았다면,

나는 복음을 믿지 않을 것입니다.

(성 아우구스티노, ,마니교도 서간 반박. 5, 6.)

 

 

 

                       - 가톨릭 교회 교리서, 한국천주교 중앙협의회, 2003, 115-119 -

'말씀의 둘레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경  (0) 2010.09.11
자연을 사랑한 화가 - 장 프랑수아 밀레  (0) 2010.09.07
그리스도와 성령과 말씀  (0) 2010.08.30
그리스도와 말씀  (0) 2010.08.30
성서의 해석자이신 성령  (0) 2010.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