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시편입문
1. 책의 이름
히브리 성경에서는 터힐림(힐렘에서 파생) + 세페르(책)으로 시편은 찬양가, 찬미가의 의미이고
시편집은 찬양가들의 책이 된다. 칠십인격 성경에서는 ‘프살모이’로써 현악기를 손으로 뜯다.
즉 현악기로 반주하며 부르는 노래라는 것이된다.
우리말 성경에서는 시편은 개별시와 시편 150편 전체로 나누고 있고, 성영(聖詠)으로 거룩한 노래라고 불린다.
* 구약의 모든 악기(뿔, 나팔, 비파, 수금, 십현금, 피리, 자바라)를 사용한다.
* 독립된 작은 시편 모음집을 편집자들이 수집하고 편찬하였다.
* ‘알렐루야’라는 단어가 앞과 뒤에 자주 나오는 것은 시편집 전체의 결론 역할을 하기 때 문이다.
* ‘오름의 노래’라는 말로 시작하는 시편은 예루살렘 성전으로 올라가면서, 곧 순례 중에 부 른 노래이다.
* 시편의 머리글은 다음 세 가지 형태를 지닌다.
① 전문적 음악 용어와 연주 방법: ‘노래’, ‘시편’, ‘기도’ ‘지휘자에게(연주방법)’
② 그 시편과 관련된 개인의 이름: 모세, 솔로몬, 아삽, 코라의 자손들
(오경-모세, 지혜-솔로몬)
③ 역사적 사건: 주석의 의미
2. 시편 언어의 특성
시편의 언어는 단순하면서도 심오하다. 인간의 조건, 의인과 악인의 운명, 하느님의 구원에 대해 숙고한다.
계약의 백성이 체험을 통해서 얻은 지혜를 노래한다.
탄원과 찬미, 비관과 희망, 저주와 화해, 미움과 사랑, 슬픔과 기쁨 등을 표현한다.
3.형성배경
하느님의 구원 업적을 찬미하는 전통 신심과 얼이 담겨 있는 시편은,
성전과 전례를 중심으로 율법과 자연을 묵상하는 가운데 형성되었다.
- 성전을 통해서: 이스라엘의 종교 생활은 전례의 심장부인 성전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성전은 전례 공동체가 하느님의 현존을 체험하는 자리이며, 이러한 체험은 시로 표현하여 감사와 찬양과 흠숭을 드린다.
1) 성전 뜰에서 부른 노래(20, 26-27; 48; 65-66; 81; 95-96편)
2) 성전 순례 때 부른 노래(84; 118-132편)
- 전례를 통해서: 신앙은 생활 전체에 두루 미치므로, 삶의 원천이신 하느님을 기리는 전례 모임에서 시편을 노래한다.
1) 성전 봉헌 축일에 부른 노래(30편)
2) 초막절에 부른 노래(29편)
- 율법을 통해서: 하느님 말씀인 율법을 기쁘게 받아들여서 깊이 묵상하고, 끊임없이 되새 기고
음미하면서 주님의 가르침을 찬양한다(1편 등).
- 자연을 통해서: 대자연 속에서 창조주 하느님을 찾고 그분의 전능하심을 찬양하는 노래로
자연의 질서와 조화를 기린다(8; 19; 104편 등).
4. 분류
시편은 길이, 형식, 내용이 서로 다른 150편의 시를 수록하고 있다.
이스라엘 종교 생활의 핵심인 오경과 같이 다섯 권으로 분류되어 있고, 각 부분은 찬양으로 끝난다.
1) 각권의 분류(오경과 비슷하게 만들어졌기 때문)
- 제1권: 1-41편(41, 14)
- 제2권: 42-72편(72, 18-19)
- 제3권: 73-89편(89, 53)
- 제4권: 90-106편(106, 48)
- 제5권: 107-150편(150편 전체)
2) 저자에 따른 분류
- 다윗의 노래(야훼 시편): 3-41; 86; 101; 103; 109; 110; 1380145편
- 코라 자손들의 노래: 43-49편
- 다윗의 시(하느님 시편): 51-72; 108편
- 아삽의노래: 50: 73-83편
- 코라 자손들의 노래: 84-85; 87-88편
- 하느님의 통치 노래: 93-99편
- 순례의 노래: 120-134편
- 할렐 감사 시편: 104-106; 111-118; 135-136; 146-150편
- 기타: 1-2; 에단(89); 모세(90-91); 100; 102; 107; 119; 137편
※ 참고문헌: 성경 읽기 안내 구약2, 성서와 함께, 2007, p. 23-29.
시서와 지혜서, 성서와 함께, 2007, p 104-107.
'시편 길잡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편과 기도 (0) | 2011.12.23 |
---|---|
시편의 유형 (0) | 2011.12.23 |
시편- 하느님 백성의 기도 (0) | 2011.09.13 |
신약성서 안에서의 시편 (0) | 2011.09.02 |
시편 기도의 몇 가지 주제들 (0) | 2011.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