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의 속성과 청소년 문화
2. 문화의 속성과 청소년 문화
문화의 일반적인 속성을 알아보는 가운데, 그것과 관련하여 청소년 문화를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한다.
1) 문화의 공유성
문화의 사회 구성원들에 의해 공유된다. 즉 한 사회의 구성원들은 개별적으로 독특하게 지니고 있는 취향이나 버릇, 기질과는 다른게 다른 집단의 것과 구별될 만한 공통의 성향을 가진다. 사회 구성원들에 의해 공통적으로 나타나며, 인정되는 경향의 문화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속성에서 비추어 볼 때, 청소년 문화는 청소년들에 의해 공유되는 문화로서 그들만의 행위 양식, 사고방식, 여러 가지 스타일을 청소년 문화라고 볼 수 있다.
2) 문화의 다양성
인간은 문화라는 수단을 통해 환경에 적응하는 것이지만, 그 적응 수단으로서의 문화는 단지 한 가지 방법만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그 중 어느 것이 나쁘거나 틀렸다는 평가를 섣불리 내려서도 안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청소년 문화를 바라본다면, 청소년 문화는 사회의 다양한 문화들 중 하나로 존재함을 알 수 있다.
3) 문화의 학습성
사회에서 공유되어지는 규칙들은 우리의 일상생활을 통해서 학습되어 진다. 이러한 학습과정은 공식적이고 의도적일 수 도 있고, 비공식적으로 일어날 수도 있다. 문화화 과정은 단일 집단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사회 집단과 매체 등에 의해 다방면에 영향을 받으며 진행된다. 특별히 오늘날 정보화 사회를 살아가는 청소년이 자신이 속한 여러 집단에서 갖는 문화화 과정은 때론 상호 충돌 및 무시를 경험하게 하며 복잡하게 이루어진다.
4) 문화의 축적성
문화는 한 세대를 거쳐 다은 세대로 전해 내려가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각 세대에서 이루어진 지식들이 추가되면서 문화의 저장 창고는 팽창되어 왔다. 청소년들이 참여하여 활동하는 동아리, 단체와 같은 나름대로의 집단문화는 고유의 규율이나 관행 등의 형태로 지속될 것이다.
5) 문화의 체계성 및 총체성
한 사회의 문화를 구성하는 지식, 신앙, 예술, 도덕, 관습 등은 각기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하나의 전체 또는 체계를 이루고 있다. 청소년 문화의 이해에 있어서도 그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청소년 문화를 둘러싼 복합적인 맥락을 파악해야 할 것이다.
6) 문화의 가변성
문화는 정체되지 않고 항상 변한다. 문화는 축적되고 연속적으로 계승되어 왔지만, 그 과정에서 항상 변화를 수반하고 있다. 청소년 문화는 단일하거나 동질적인 것이 아니며, 또 일정한 경계를 가지고 지속적으로 유지되기보다는 다양한 특성들과 스타일들을 가지고 끊임없이 이합집산을 거듭하고 있다.
- 청소년 문화의 현주소, 최재영신부, 천주교 수원교구 심포지엄, 2010, 10/7 -
'테마가 있는 곳'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팬덤문화와 청소년 II (0) | 2010.10.16 |
---|---|
팬덤문화와 청소년 I (0) | 2010.10.16 |
청소년 문화의 성격 (0) | 2010.10.15 |
생태영성이란 III (0) | 2010.09.16 |
생태영성이란 II (0) | 2010.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