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가 있는 곳

의식주 문화 : 건강한 일상성과 교육

마리아 아나빔 2013. 1. 26. 17:07

 

 

  의식주 문화 : 건강한 일상성과 교육

 

 

 

 

신체적 차원

심리적 차원

사회 문화적 차원

전인격적 의미

신체보호, 생존

자기표현,

아름다움의 표현,

 

개성, 자유로움, 자기 존재의 확장,

안정감과 자신감,

가치관의 표현,

허위의식의 표현,

 

-신분과 권력의 표현

-빈부차이(소외 현상)

-메이커 옷?(허위의식)

-내면과 외면의 일치

-소속감(유니폼), 동질감, 시대변화(유행),

-인간 존중의 출발(정체성과 삶의 질, 품위)

-주체의식과 공동체적 삶의 실천(전통, 현대)

-의존적 삶 vs 자립적 삶

-기본적인 의식주 욕구를 충족시켜주지 않으면 더 높은 욕구로 나아가기 어렵다 ( * 매슬로우의 욕구이론 참조)

-모든 인간의 생리적 기본 욕구다.

-친교와 교류의 장

-의식주 문제를 교육과정으로 끌어 들이기( * 보다 적극적인 방식으로 삶의 구체적인 문제 해결 능력 키워주기)

-직접 만들어 먹고 입고 정리하기(의식주에 참여)

-생활교육 강화(청소, 바느질, 음식 만들기, 텃밭가꾸기)

- 삶과 앎의 통합

-의식주 문제는 삶과 교육의 질을 결정함.

-돌봄의 철학, 감사하는 삶,

건강, 생존, 유해음식(사육 vs 양육)

끼니 때우기식(학생들)

몸의 즐거움, 미용,

비만과 영양결핍

you are what you eat !

질병,

 

삶의 즐거움, 욕구충족, 안정감, 정서, 식문화에 의한 소속감,

음식 나눔을 통한 사랑 전달.

 

빈부 차이, 삶의 질,

교류와 나눔, 소통과 축제

도덕성(부도덕한 음식-생산, 유통, 판매 과정)

문화적 차이(각국의 고유한 식문화),

길거리 음식,

-외식문화, 배달음식,

-fast food / slow food

쉼, 휴식, 보호,

생명, 생존,

유해물질이 있는 공간,

공간에 따른 몸의 변화, 질적 차이를 온 몸이 느낌, 정리정돈,

정서적 편안함, 소속감, 안정감, 행복,

내적 질서와 외적 질서,

정리 정돈, 아름다움,

-삶의 질, 보금자리,

-소통의 장,

-신분, 생활수준의 표현,

-빈부 격차, 위화감,

-투기, 재산 가치로 인식(삶의 공간이 아니라)

기타

의식주 문제를 교육의 기본 과제로 삼기, 삶의 질, 노동의 가치,

공감대(공통의 경험) 형성

개인의 생명권을 교육공동체적 관점에서 살피기,

자유, 개인의 선택, 공동체적 책임, 보다 나은 가능성 모색하기,

주체 의식과 공동체 의식

-교육 복지,

-사회적 양극화

-인간의 기본 권리,

-생명권 보장.

-생활교육의 토대 위에서 지식교육 하기

-허위의식, 과대포장, 과시욕,

 

-대화 및 소통, 일상에 대한 깊은 사유

-글쓰기, 일상적 경험으로부터 학습하기, 가정과 학교의 연대, 일상성의 연결과 통합, 앎과 삶의 통합

 

* 오늘날 학교교육이 “지적 학습”에 치우쳐 “삶의 과제”를 놓치고 있다.

 삶과 교육의 기초인 일상성 (의식주, 대화와 소통, 사고연습으로서의 글쓰기, 가정과 학교의 연계, ) 이 요청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