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느님의 이름들 하느님의 이름들 1) 야훼(Yahweh):'YHWH' 라는 네 자음으로 이루어진 이 말은 이스라엘이 하느님의 이름을 부르는 이름 중의 하나이다. 그 단축형인 ‘야(Yhw 또는 yaho)' 는 이사야의 경우처럼 이름 끝에 나타나거나 알렐루야와 같이 전용 문구에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리스어 번역본을 살펴보면 'YHWH'는 야훼.. 이삭줍기(창세기) 2010.06.17
성서의 text를 대하는 우리의 방법(text 일기) 성서의 text를 대하는 우리의 방법1( text 읽기) 이것은 오늘을 사는 나에게 그 텍스트로 하여금 하나의 의미를 창출케 하는 것이 된다. “ 이 텍스트가 나에게 말하는 것이 바로 이거야. 이 텍스트 속에 나를 감동시키는 것이 있어” 라고 하는 것이다. 창세기 3, 1-24: 악의 기원 안에서 작업 1- 성령의 영감.. 이삭줍기(창세기) 2010.06.17
신화란? 신화란? 우리는 수차례에 걸쳐 ‘신화’ 란는 단어를 접하였는데 이 단어는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고대 신화들은 신들, 여신들, 그리고 고대의 영웅들을 무대에 등장시키는 역사처럼 표현된다. 처음 읽게 되면 조금 당황하게 되지만, 곧 거기에 빨려 들어가게 된다. 그 이유는 그 신화들이 전.. 이삭줍기(창세기) 2010.06.17
성서를 읽는 다는 것은... 성서를 읽는 다는 것은... - 성서는 어떤 점에서 나의 흥미를 끌 수 있을까? 성서는 하느님이 나타나서 모든 시대에 말씀하시며 억눌린 자를 해방시키고 병자를 치유하시기 위해 끊임없이 기적을 행하시는 놀라운 역사에 대해이야기 한다. - 이것이 일상적이고 평범한 내 삶과 무슨 관계가 있는가? 더 .. 이삭줍기(창세기) 2010.06.17
창세기를 읽기 전에... 창세를 읽기 전에 성서는 성서가 씌어지기 전에 먼저 사건들이 있었고 신앙공동체의 삶이 있었다. 이 사건들과 공동체의 삶은 대부분 알아듣기 쉬운 ‘이야기’들로 구성되어 구전으로 되풀이 되다가 늦은 시기에 와서 비로소 전문적인 글장이들에 의해서 이야기의 꼴이 더욱 정교하게 다듬어지고 .. 이삭줍기(창세기) 2010.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