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의 주제들2 "보시니 좋았다." 창세기는 모든 창조 이후에 "보시니 좋았다."라는 평가를 반복함으로써 모든 것이 혼돈스럽고 뒤섞여 있지만 끝내는 '보시니 좋은 것'을 이끌어 내시는 축복과 사랑의 하느님을 강조한다. 이러한 고백은 창세기가 집대성되던 유배라는 시기를 배경으로 하여 이해될 수 있는데, 이 표.. 이삭줍기(창세기) 2010.10.15
창세기의 주제들1 한 처음... 창세기는 1장 1절을 "한 처음에 하느님께서 하늘 과 땅을 창조하셨다."라는 말로 시작하고있다. 문장의 구조가 우리말과 다른 히브리어는, 영어나 다른 서양 언어처럼 동사를 먼저 배치시키는데, 창세기의 첫 구절은 '베레쉬트 바라', 즉 '한처름에 창조하셨다.'이다. 그런데 너무 많이 읽어서.. 이삭줍기(창세기) 2010.10.15
하느님의 사랑 - 헤세드 2 하느님의 사랑 헤세드 하느님의 헤세드(hesed)적 사랑은 시편 8의 저자의 마음처럼 참으로 '인간이 무엇이기에 이토록 돌보아 주시며 인간이 무엇이기에 이토록 아니잊어시나이까' 이다. 그러므로 하느님의 사랑은 인간으로 이해할 수 없고 설명될 수 없고 감당할 수 조차 없는 사랑이다. 단지 그 사랑.. 이삭줍기(창세기) 2010.09.21
하느님의 사랑- 헤세드 하느님의 사랑 헤세드 아브라함이 " 주 하느님 제가 그것을 차지하리라는 것을 무엇으로 알 수 있겠습니까? 하고 묻자... 이 모든 것을 가져와서 반으로 잘라, 잘린 반쪽들을 마주 보게 차려 놓았다.... 해가 지고 어둠이 깔리자, 연기 뿜는 화덕과 타오르는 횃불이 그 쪼개 놓은 짐승들 사이로 지나갔다... 이삭줍기(창세기) 2010.09.21
믿음의 문 하늘의 별처럼... 그러고는 그를 밖으로 내리고 가서 말씀하셨다. "하늘을 쳐다 보아라. 네가 셀 수 있거든 저 별들을 세어 보아라." 그에게 또 말씀하셨다. "너의 후손이 저렇게 많아 질 것이다." -창세 15, 5 - 창세기 이 구절은 큰 감동과 깨딸음을 우리에게 가져다 준다. 그것은 보이지 않는 하느님의 신.. 이삭줍기(창세기) 2010.09.21
하느님 백성의 기원 하느님 백성의 기원과 약속의 시대 (창세 12-50장) 하느님 백성의 기원 성서에서 인류의 태고사(창세 1-11)가 아브라함의 역사로 넘어가는 분기점은 아무런 단절이 없이 거의 눈에 띄지 않게 일어난다. 노아의 큰 아들 셈에게서 이어지는 희미한 혈통이 아브라함의 가계로 넘어간다(창세 11, 10-32). 다만 성.. 이삭줍기(창세기) 2010.08.20
성서와 교회문헌을 통해본 창세기 1-11 창세기 1-11절을 마치면서 하느님과 나, 나와 이웃, 나와 사물과의 관계를 성서와 교회 문헌을 통하여 간단히 조명해 보자. - 나와 하느님과의 관계- “성서가 가르치는 대로, 인간은 ‘하느님의 모상을 따라’ 창조되었고, 창조주를 알아 사랑할 수 있으며, 창조주로부터 세상 만물의 주인공으로 설정.. 이삭줍기(창세기) 2010.08.04
하느님의 은총의 힘이 얼마나 더 큽니까?(로마서 5, 12-21) 하느님의 은총의 힘이 얼마나 더 큽니까? (로마 5, 12-21) 지금까지 해설 해온 창세기 말씀을 신약성서 특히 바울로 서간을 통하여 제조명해 보기로 합시다. 로마인들에게 보낸 바울로 사도의 편지는 창조의 이야기와, 첫 인류의 범죄 이야기, 그리고 하느님의 구원계획에 대한 이제까지의 이야기를 종합.. 이삭줍기(창세기) 2010.06.17
창세기 4-11장의 의의 도입기도: 시편 새로운 text로 들어가기 전에 앞으로 다루게 될 창세기 4-11장이 어떤 의의를 가지고 있는지 잠시 살펴보기로 하겠다. 창세기 4-11장의 의의 모세오경을 최종으로 편집하던 당시의 이스라엘 종교의식은 하느님과 그분의 백성이라는 좁다란 경계를 벗어난 경지였다. 이미 이스라엘 백성의 .. 이삭줍기(창세기) 2010.06.17
구원 체험에서 시원에 관한 설화로 구원 체험에서 시원에 관한 설화로 (창세기 설화가 형성되기 까지) 모세 오경 전체가 핵심으로 삼고 있는 바는 이스라엘이 하나의 백성으로서 처음부터 겪어온 근본체험, 역사적이고 종교적인 체험이다. 그 체험이란 이집트에서의 해방, 시나이산에서 자기 조상들이 하느님과 맺은 계약, 광야를 헤매.. 이삭줍기(창세기) 2010.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