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의 영감과 진리 성서의 영감과 진리 하느님께서는 성서의 저자이다. "하느님의 계시는 성령의 감도로 성서에 글로 담겨지고 표현되어 보존된 것이다. 그러므로 거록한 어머니인 교회는 사도의 신앙에 따라 구약과 신약의 모든 책들 그 각 부분과 함께 전체를 거룩한 것으로 또 정경으로 여긴다. 그 이유는 이 책들이 .. 말씀의 둘레길 2010.08.29
말씀의 샘가에서 말씀에 유의하는 이는 좋은 것을 얻고 주님을 신뢰하는 이는 행복해진다. (Whoever listens closely to the word finds happiness; whoever trusts Yahweh is blessed.) -잠언 16,20- 사랑하는 말씀의 아나빔 여러분! 무더운 열대아 가운데서도 영육으로 건강하게 잘지내시지요? 세상에는 참으로 좋고 유익한 것들이 가득하지만 그.. 우리들의 게시판 2010.08.23
21세기에 성빈센트 처럼(2) 사랑에 대하여 - 만약 당신이 사람을 판단한다면 당신은 그들을 사랑할 시간이 없습니다. - 나는 가난한 이들에게 부자가 돈으로 얻을 수도 없는 사랑을 주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아니, 나는 수천 파운드 때문에 문둥병자들을 만질 수는 없습니다. 단지 하느님의 사랑을 위해 그를 기꺼이 치료합니다. -.. 성 빈센트의 향기를 성경 안에서 2010.08.22
21세기에 성빈센트처럼(1) 21세기에 성빈센트처럼 가난한 이들을 위한 삶을 살았던 빈자들의 성녀 마더데레사 마더 데레사 수녀 탄생(1910-1947) 100주년을 기념하며... (그녀 자신의 말들 안에서) 지도자들을 기다리지 말라. 홀로 그것을 하라. 한 사람 한 사람에게... 마더 데레사는 참으로 복음을 ‘사는’의미가 무엇인지 그녀의 .. 성 빈센트의 향기를 성경 안에서 2010.08.22
성조사에 들어가기 전에 성서나눔18- 성조사에 들어가기 전에 앞으로 우리는 창세기 12자에서 20장까지 성조들, 즉 아브라함과 야곱과 요셉 및 그의 형제들이 하느님의 약속에서 차지하고 있는 역할에 대하여 알아보면서, 이 성조사를 통하여 계속 메아리치는 하느님의 약속이 어떻게 성취되어 가는가를 살펴 볼 것이다. - 아브.. 창세기 나눔 2010.08.20
하느님 백성의 기원 하느님 백성의 기원과 약속의 시대 (창세 12-50장) 하느님 백성의 기원 성서에서 인류의 태고사(창세 1-11)가 아브라함의 역사로 넘어가는 분기점은 아무런 단절이 없이 거의 눈에 띄지 않게 일어난다. 노아의 큰 아들 셈에게서 이어지는 희미한 혈통이 아브라함의 가계로 넘어간다(창세 11, 10-32). 다만 성.. 이삭줍기(창세기) 2010.08.20
성모승천 대축일을 축하드리며... 주님을 생각하면 나의 마음은 기쁘다. 나의 하느님을 생각만 하면 가슴이 뛴다. 그는 구원의 빛나는 옷을 나에게 입혀주셨고 정의가 펄럭이는 겉옷을 둘러 주셨다. 신부처럼 패물을 달아 주셨다. - 이사 61,10 참조- 사랑하는 말씀의 아나빔 여러분! 우리 주님의 어머님이시요 우리 신앙인들의 어머니이.. 우리들의 게시판 2010.08.15
창세 11, 1-9: 사람들을 거기에서 온 땅으로 흩으셨다. 성서나눔17 -창세 11, 1-9: 사람들을 거기에서 온 땅으로 흩으셨다. 들어가면서 창세 11장(바벨탑 이야기)은 메소포타미아의 고대 민족들이 행한 시도를 우리에게 들려 준다.(메소포타미아는 티그리스와 유프라테스강을 양편에 낀 기름진 땅으로 오늘날 이라크에 해당하는 곳이다.) 그 시도는 강력한 정.. 창세기 나눔 2010.08.13
카오스와 코스모스 Chaos and Cosmos 어떤 이들은 20세기의 과학사에 기록될 세 가지 큰 업적으로 상대성 이론과 양자역학과 카오스 이론을 꼽습니다. 그들은 카오스 이론이 20세기의 물리학 분야에서 세 번째로 일어난 대혁명이라고 주장한다. "상대성 이론은 절대적 공간과 시간이라는 뉴턴의 물리학의 환상을 없애버렸다. .. 말씀의 둘레길 2010.08.09
과학이 하느님을 노래할 때 우주는 하느님을 노래한다. 흔히 과학과 신앙을 서로 대치되는 개념으로 생각하지만, 과학은 하느님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예로부터 하느님의 존재를 우리는 인간의 이성으로 논증하려는 많은 노력이 있었다. 안셀모의 존재론적 논증, 토마스 아퀴나스의 우주론적 논증, 페일리의 .. 말씀의 둘레길 2010.08.08